안녕하세요. 대의입니다.
해외에서 물건을 살때 가격을 잘 계산해보고 사셔야하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관부가세가 발생하기 떄문입니다.
관부가세란 무엇이냐,
말그대로 관세와 부가세를 말해요.
국내에서 물건을 살떄 과자라 500원이라고 한다면 450원이 원가고 50원이 부가세잖아요.
그것처럼 물건을 사게되면 부가세 10%가 붙어있지 않은 가격이기 떄문에 10%를 부과해야 되요.
또한 물건을 통관하면서 내는 관세도 따로 내야하죠.
참,, 너무 나도 아까운데요.
그래서 국가간에 한 약속이 있습니다.
좀 더 많은 유통을 만들어 경제활동이 더욱더 활발해지라고 한 약속인데요.
바로 "관부가세 면제"에 관해서 약속을 했습니다.
미국은 200달러 이하, 유럽은 150달러 이하의 물건을 구매할 땐 관부가세를 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죠.
아~ 주 유용한 정보네요 그쵸??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면서 200달러가 넘는 물건을 해외에서 살수도 있잖아요?
그럴때 관부가세를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바로 네이버를 이용하면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관부가세 계산하기
우선 네이버에 관부가세 계산기를 쳐줍니다.
그 이후 아래의 물품을 선택해주시구요.
구입 국가와 물품가격 무게를 적어주세요.
물품가격은 해외 사이트내에서 구매할 당시 구매했던 금액을 적어주세요.
해외 판매가 + 배송대행지로 보낼 때 더해지는 배송비를 말합니다.
만약 아마존 같은 곳에서 국내로 바로 직구입 했으면 그 가격을 그대로 적으시면 됩니다.
무게는 아마존이나 여러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을 찾아보면 손쉽게 알수 있어요.
정말 못찾겠다 싶으면 감으로 찍어 맞추시면 됩니다.
그리 중요한건 아니예요.
이후 이렇게 아래의 계산하기를 눌러주면 관부가세가 계산이되는데요.
위에 물건을 계산해보니 관부가세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이유는 미국에서 구매한 상품이 200달러를 넘지 않아서 그래요.
만약 200달러가 넘는다면 이렇게 관부가세가 발생됩니다.
관부가세 발생이 예상되면 그렇게 알고있으시면 됩니다.
그래서 구매대행 시에 관부가세가 발생될것 같은 상품은 관부가세를 더해서 판매가를 설정하는 것이죠.
관부가세가 발생하게 되면 통관시에 연락이 오는데요.
관부가세를 바로바로 지불해야지 관세청에서 물건을 국내로 보내줘요.
관부가세를 계속해서 내지 않으면 물건을 통관하지 못하고 창고에 박혀있게 되는것이죠.
그래서 관부가세가 발생될것 같은 상품은 미리 선납을 하는게 좋은데요.
그에 관해서는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노마드로 돈벌기 > 구매대행사업으로 돈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 대표 이미지 사이즈 변환하는 방법 🌍구매대행으로 돈벌기 EP6🌍 (0) | 2022.08.10 |
---|---|
유럽제품 면세 구매하는 방법 [🌍구매대행으로 돈벌기 EP6🌍] (0) | 2022.08.04 |
아마존 직구하는 하는방법 [ 배송대행지 쓰는법 ] 🌍구매대행으로 돈벌기 EP4🌍 (0) | 2022.08.03 |
아마존에서 쉽게 직구하는 하는방법! 🌍구매대행으로 돈벌기 EP3🌍 (0) | 2022.08.02 |
해외직구 배송대행지는 여기가 최고! (배대지 추천) 🌍구매대행으로 돈벌기 EP2🌍 (0) | 2022.07.29 |
댓글